슈뢰딩거 방정식
학부 물리학 전공 양자역학 과목에서는 주로 고전역학과 비교되는 양자역학의 특징, 양자역학의 형식적인(수학적인) 구조,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풀이법을 주로 배웁니다. 슈뢰딩거 방정식이라 하면,
를 의미하지만, 학부 양자역학의 대부분의 문제에서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해밀토니안을 다루기 때문에,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슈뢰딩거 방정식인,
를 슈뢰딩거 방정식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풀기도 합니다. 학부 수준에서는 기본적인 양자역학의 특징과 형식적인 성질을 공부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시간에 의존하는 해밀토니안에 대해서 다루거나 혹은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해밀토니안이라고 하더라도 파동함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다루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의 변화를 다루지 않는 것은 아닌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
로 주어진다." 정도만 배우고 넘어갑니다. 저 역시 기억을 더듬어 거슬러 올라가면, 물론 매우 오래된 과거이긴 하지만, 이 정도가 전부였던것 같습니다. 물론 강의를 하는 교수님은 이것보다 더 많은 것을 가르쳐주셨을수도 있지만, 제가 현재 기억하고 있는 바는 이 정도가 전부입니다. 물론 형식적으로 볼 때, 이 정도가 어쩌면 전부라고 할 수 도 있겠지만, 단순히 원리를 알고 있는 것과, 이를 구체적인 문제에 적용하여 풀어 보고 그 해를 구하는 것은 조금은 다른 문제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체적인 문제에서 파동함수의 사간에 따른 변화를 구해보고 이를 그래프와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시각화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양자역학을 배운지 얼마 안된 분이거나, 혹은 양자역학을 배운지 조금 되었다고 하더라도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한 번도 못 본 분도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의 변화를 구하는 두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양자역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에서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이 변화가 어떻게 되는지를 직접 시각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의 변화에 대해서 처음 다루는 포스팅인 만큼, 이번 포스팅에서 등장하는 해밀토니안은 모두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해밀토니안으로 한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시각와 계산의 편의를 위해서 공간 차원은 1차원으로 한정하겠습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임의의 차원으로 일반화 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 고유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
첫 번째 방법은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는데, 슈뢰딩거 방정식의 선형성을 이용하는 것 입니다. 특정 시간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특정 시간은
은 시간에 의존하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가 됩니다. 따라서,
와 같이
가 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1) 주어진 해밀토니안의 고유 함수, 고유 에너지를 구하기
(2)
를 해야 합니다. 여기서
입니다. 이 두 과정은 학부 양자역학 시간에 많이 해 봤을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매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석적인 방법으로 위 식을 적분하여
방법 2 : 시간에 의존하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바로 푸는 방법
방법 1은 슈뢰딩거 방정식의 수학적인 성질인 선형성을 이용하여 문제는 간단하게 푸는 방법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방법은 그런 것을 사용하지 않고, 곧이 곧대로 편미분방정식을 푸는 것입니다. 수치해법으로 통해서 (편)미분 방정식을 푸는 것은 이미 이전 포스팅에서 여러번 소개하였는데, 기본적인 방법은 연속적인 값을 갖는 시간과 공간의 값을 불연속화 하는 것 입니다. 즉 실수의 값을 갖는 시간
https://studyingrabbit.tistory.com/37?category=911605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으로 미분 방정식(헬름홀츠 방정식) 풀기
미분방정식은 응용수학, 물리학, 공학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수학적 문제입니다. 특히나 물리학과 공학에서는 미분 방정식이 거의 전부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미분 방정식은 지배적인 문제입니
studyingrabbit.tistory.com
유한요소법에서는 파동함수
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이 됩니다. 여기서
입니다. 여기서
가 됩니다.
이 됩니다.
방법 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슈뢰딩거 방정식이 수학적인 특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방법 1과 비교했을 때 뚜렷한 장단점이 존재하는데, 방법 2는 매우 일반적인 조건에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위치 에너지
구체적인 문제에서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위치 에너지에 대해서 응용을 하기 위해서는 방법1보다는 방법2가 편하기 때문에, 방법2를 따라서 프로그램을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방법1로 문제를 푸는 것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문제에 따라서 위치 에너지와 파동함수 값을 달리하면서 해를 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다른 설명이 없다면, 질량, 디락 상수(
상자 속 입자(particle in a box) 문제의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의 변화
"상자 속 입자" 문제는 양자역학에서 처음 나오는 예제로
와 같이 원점을 중심(평균)으로 하고 표준편차가

설명을 위해서 각 시간에서의 파동함수와 파동함수의 제곱을 나타내면 위 그래프와 같습니다. 그래프에서 녹색은 파동함수의 실수부, 파란색은 파동함수의 허수부, 빨간색은 파동함수의 크기의 제곱 (실수부 제곱과 허수부 제곱의 합)을 뜻 합니다. 위 계산에서는
시간이 더 지나게 되면
로 주어지고, 이에 대응되는 주기는
으로 주어집니다. 만일 시간

처음 양자역학을 배울 때,
포텐셜 장벽(potential barrier)에 의한 반사와 투과(양자 터널링)
상자 속 입자 문제 다음으로 학부 양자역학에서 많이 다루는 문제는 1차원 스케터링 문제 입니다. 예를들어
와 같은 포테셜이 있을 때, 운동량 고유 함수
이를 가장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파동 묶음은
입니다.
이 됩니다. 즉 평균이
그러면,
시뮬레이션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입사하는 파동 묶음이 포텐셜 장벽에 무딛히지 직전의 시간에 따른 변화 입니다. 위에서와 같이 그래프에서 녹색은 파동함수의 실수부, 파란색은 파동함수의 허수부, 빨간색은 파동함수의 크기의 제곱 (실수부 제곱과 허수부 제곱의 합)을 뜻 합니다. 운동량이

파동 묶음이

시간이 좀 더 지나게 되면 반사파와 투과파가 완전히 분리 됩니다. 반사파와 투과파는 모두 파동 묶음의 형태를 갖게 됩니다. 투과율과 반사율을 구하고 싶다면
1차원 스케터링 문제는 양자역학을 처음 배울 때 부터 무지하게 많이 풀어 봤겠지만, 실제로 파동 묶음이 포텐셜 장벽을 만나서 반사와 투과를 하는 현상을 기술하는 파동함수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부 양자역학에서 가장 처음 다루게 되는 두 문제, 무한 우물에서의 입자와 1차원 스케터링, 에 대해 시간에 의존하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보았습니다. 특정한 형태를 갖는 초기 파동함수
'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과percolation 이론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접근하기 (0) | 2023.05.11 |
---|---|
시간에 따른 파동 함수의 변화 계산 하기 102 : 단조화 진동자와 결맞은 상태(coherent state) (0) | 2022.06.04 |
렌즈, 물방울에 의한 빛의 굴절 : 공간에 따라 굴절률이 변하는 상황에서 Eikonal 방정식 풀기 + 신기루 현상 설명 (0) | 2022.04.17 |
빛의 진행 경로와 페르마의 원리와 Eikonal(아이코널) 방정식 : 페르마의 원리로 부터 스넬의 법칙 유도와 수치해법으로 문제 풀기(파이썬 코드) (1) | 2022.04.16 |
중심력장 하에서 입자의 운동 (1) : 수치 미분 방정식 해법을 이용하여 문제 풀기 + 파이썬 시뮬레이션 코드 (0)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