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물리학은 가장 역사가 깊은 과학의 분과 중 하나로, 뉴턴의 고전 역학의 정립 이후 큰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그 중에서 재미난 주제 중에 하나는 라그랑주 점(Lagrange point)인데, 라그랑주 점은 이를 발견한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조세프-루이르 라그랑주의 이름을 따서 불리고 있습니다.
라그랑주 점은 공전(원운동)하는 두 큰 천체가 만들어 내는 힘의 평형점 입니다. 단순히 이렇게만 설명하면, 매우 어려운데 실제로 예를들어서 설명하면 더 쉽습니다. 태양-지구-위성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생각하겠습니다. 태양은 지구에 비해 질량이 무척이나 크기 때문에, 사실상 태양은 원점에 고정 돼 있고, 지구는 태양 주변을 1년에 한 바퀴씩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의 중력장에 의해서 속박 돼 있는 위성을 생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위성은 지구 주변을 공전하는 것 뿐 아니라 동시에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위성이 받는 힘은
(1)태양-위성의 중력,
(2)지구-위성의 중력, 그리고
(3)위성이 태양(원점) 주변을 공전하면서 받는 "원심력"
이 있습니다. 아시다 시피 원심력은 실제 힘은 아니지만, 뒤에서 설명할 논의에 따르면 "실제로 작용하는 힘" 처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성이 받는 알짜힘은

우선 결론 부터 설명하면, 태양-지구 시스템이 만들어내는 라그랑주점은 총 5개가 있습니다. 이 다섯개의 라그랑주 점을 각각
태양과 지구가 그 자리에 고정 돼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실제로는 태양-지구 중력으로 인해서 그럴 수 없습니다), 위성이 받는 힘은 위에서 설명한
그러면 이제 어떻게 하여 위 라그랑주 점
비관성 좌표계
뉴턴의 운동 법칙
우리에게 관심있는 물리량은 위성이 받는 힘입니다. 따라서 위성만 움직이고, 태양과 지구가 고정 돼 있으면 좋겠는데, 앞에서 설명한 것 처럼 지구는 고정 돼 있지 않고 태양 주변은 공전하게 됩니다. 지구가 계속 움직이는 것을 생각하면 귀찮기 때문에, 태양 뿐 아니라 태양-지구가 모두 고정 돼 있는 좌표계를 생각하면 더 좋습니다. 위성의 질량이 태양과 지구의 질량에 비해서 매우 작다고 한다면(실제로 그렇습니다), 지구는 위성의 중력을 느끼지 못하고 단순히 태양으로 부터 받는 중력에 의한 원운동을 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틑 타원 운동을 하게 되지만 편의상 원운동으로 생각하겠습니다. 실제로 원에 매우 가까운 타원입니다) 지구가 태양 주변을 각속도
이 처럼 각속도
관성력 : 코리올리 힘과 원심력
각속도
이 힘을
힘 뿐만 아니라 위치 에너지 역시 식이 바뀌게 되는데,
이 되고, "일반화된 미분"에 의해서
가 됩니다. 위 식의 유도 과정과 의미는 고전 역학 교과서의 비관성 좌표계를 다루는 부분을 보면 됩니다.
위 결과에 따라서 위성에 가해지는 위치 에너지는,
이 됩니다. 여기서

가 됩니다. 여기서
위성이 받는 위치 에너지와 라그랑주 점
위 식에 따라서 위성이 받는 위치 에너지를 한 번 그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당연히 이 위치 에너지는 실제 위치 에너지가 아닌 "태양-지구가 고정된 비관성계"에서 적용되는 "일반화된 위치 에너지" 입니다. 결과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

위치 에너지를 등고선으로 그리면 위와 같습니다. 파란색이 값이 작는 부분, 붉은색이 값이 큰 부분입니다. 검은색 점이 원점이자 질량 중심, 붉은색 점이

위 그래프는

위 그래프는 원점에서
라그랑주 점에서의 안정성
평형점(equilibrium)을 찾으면 그 다음으로 해야 하는 것은 해당 평형점이 안정적인 평형점인지 아니면 불안정적인 평형점인지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안정적인 평형점은 위 그림의 왼쪽과 같이, 평형점에서 약한 외력에 의해서 위치가 약간 어긋났을 때, 입자가 평형점에 다시 돌아 오면서 평형점 주변을 진동하게 되는 평형점이고, 불안정적인 평형점은 평형점에서 약한 외력에도 입자가 평형점을 크게 벗어나는 평형점을 말합니다. 안정적인 평형점 근처에서 위치 에너지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불안정적인 평형점 근처에서는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갖습니다.
평형점으로 부터 약간의 위치 변화
와 같이 표현 된다면, 근사적으로
위 방법을 통해서 다섯 개의 라그랑주 점의 안정성을 체크 해 보겠습니다. 각 라그랑주 점(평형점)에서 위치와 속도를 아주 약간식 변화 시켰을 때, 즉
에 대해서, 위치와 속도의 변화를 선형 근사를 통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를 얻습니다. 여기서
위 벡터 미분 방정식은 벡터에 4개의 성분을 갖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와 같은 형태로 쓰여질 수 있고, 하나의
다섯 개의 라그랑주 점에서의
의 고유값을 갖습니다. 양수 고유값이 있기에, 불안정적인 평형점이 됩니다.
의 고유값을 갖습니다. 이 점에서 역시 양수 고유값이 있기에, 불안정적인 평형점이 됩니다.
의 고유값을 갖습니다. 제곱근 안의 값이 양수가 된다면, 네 개의 고유값이 모두 허수를 갖기 때문에,
입니다. 즉, 질량이 큰 행성의 질량(

태양계는 사실상 태양-목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양계에 속박된 소행성들은 위에서 태양-지구-위성 시스템의 위성과 같이 태양-목성으로 부터 중력과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습니다. 소행성이 안정적인 평형 상태인 라그랑주 점
위 포스팅의 내용은 https://map.gsfc.nasa.gov/ContentMedia/lagrange.pdf 를 참고하였습니다. 좀 더 상세한 유도 과정을 알고 싶으신 분은 해당 자료를 참고하면 됩니다.
'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의 진행 경로와 페르마의 원리와 Eikonal(아이코널) 방정식 : 페르마의 원리로 부터 스넬의 법칙 유도와 수치해법으로 문제 풀기(파이썬 코드) (1) | 2022.04.16 |
---|---|
중심력장 하에서 입자의 운동 (1) : 수치 미분 방정식 해법을 이용하여 문제 풀기 + 파이썬 시뮬레이션 코드 (0) | 2022.04.09 |
[고전역학 문제 풀이] 원형 빗면(콘, 깔때기)에서 구르는 입자의 운동 (1) | 2022.04.01 |
[양자역학 문제 풀이]1차원 디랙 델타 포텐셜이 나오는 문제 (서울대 대학원 입학시험) (0) | 2022.03.28 |
양자역학 무한 포텐셜 우물 문제(infinite potential well)를 행렬역학의 방법으로 풀기 (2)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