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주가의 등락에 상관 없이 꾸준하게 주기적으로 매수를 하는 것인데요. 하루 하루의 등락에도 마음이 오락가락 하는 우리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원칙 중 하나 입니다. 그러나, 원칙을 지키기만 한다면 "시간의 힘"은 우리를 부자로 만들어 줄 것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은행에서 적금을 넣는 것 처럼 주식을 주기적으로 꾸준히 샀다면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혹은 어느 정도의 연평균 이자를 받는 적금을 넣은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를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산 조건
대상 기업 : 미국 주가 상위 19개 기업
애플AAPL, 마이크로소프트MSFT, 구글GOOG, 아마존AMZN, 페이스북FB, 테슬라TSLA, 버크셔해서웨이BRK, TSMCTSM, 비자V, 엔비디아NVDA, 존슨앤존슨JNJ, 월마트WMT, 뱅크오브아메리카BAC, 유나이티드핼스그룹UNH, 제이피모건JPM, 마스터카드MA, 홈디포HD, 프록터앤드갬블PG
대상 기간 : 최근 5년 (2016. 09 ~ 2021. 08) 즉 60개월
계산 방식 : 매월 초에 정해진 만큼의 돈으로 각 기업의 주식을 매수 (주가가 매월 변하기 때문에, 정해진 비용 만큼의 매수를 하기 위해서는 정수가 아닌 실수 갯수의 주식을 사야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같은 비용 만큼의 매수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나, 편의상 이것이 가능하다고 가정. 즉 소수점 만큼의 주식을 매수 할 수 있다고 계산 함)
위와 같이 주요 기업에 대해서 매월 특정한 비용(유닛) 만큼의 주식을 60개월 동안 꾸준히 샀다고 하겠습니다. 5년 짜리 적금을 드는 대신 5년짜기 "주식 적금"을 든 것 입니다. 만기일이 되었을 때, 돌려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래프 아래에 희미한 가로선은 원금, 60, 입니다. 이 그래프에서는 원금을 1로 가정하였습니다. 그러니, 실제 금액으로 변환을 할 때는 그래프의 금액에 매월 납입하는(구입하는) 비용을 곱해주면 됩니다.
만일 최근 5년간 매월 100만원씩 애플AAPL의 주식을 매수 했다면 원금은 6000만원 이지만, 현재의 총 자산은 1억 6900만원이 돼 있습니다! 원금은 6000만원이니 대단한 수익률 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 주식을 샀다면 1억 5900만원이 됐습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총 수익률로 나타내면 위 그래프와 같습니다. 역시 테슬라TSLA가 처음 눈에 띄는데요. 5년간 총 수익률은 849% 입니다! 매월 100만원씩 매수 했다면, 매수 원가는 6000만원 이지만, 현재 가치는 849% 상승한 5억 5900만원이 됩니다! 약 5억은 번 샘이 되네요. 한 달에 200만원씩 구입했다면, 10억은 번 샘이 되는요. 서울 시내 아파트 중위값이 이 정도 되니, 아파트 한 채 정도가 "이자"로 떨어진 것 입니다. 테슬라를 사지 않은 것이 정말 후회 됩니다.
전체 수익률을 연평균 수익률로 환산하면 위 그래프와 같습니다.적금 처럼, 복리를 가정하고 계산 한 것 입니다. 적금으로 환산한다면 적금의 금리가 될 것 입니다. 역시 테슬라의 연평균 수익률이 눈에 띄느데 연평균 수익률은 무려 70%나 됩니다! 수익률이 가장 낮은 존슨앤존슨JNJ의 연평균 수익률도 8%나 됩니다. 역시 남는 돈은 미국 주식에 넣어야 겠네요.
테슬라 같이 급등한 주식을 선정하는 것은 사실 운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에, 미국 주식에 투자를 할 때는 ETF라든가 혹은 시가 총액 상위 종목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MAGA 라고 불리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아마존 주식을 샀다고 하더라도 평균적으로 연평균 수익률은 30% 수준이 됩니다. 시중 은행의 적금 금리가 3%가 안되는 것을 생각한다면 엄청난 수익률 입니다.
지금 부터라도, 돈 쓰는 것을 아껴서 꾸준하게 미국 주식을 사야겠습니다. 5년 혹은 10년만 참으면 서울 시내 아파트 한 채가 내 것이 될테니까요!
'주식_정량적_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정량적 분석 (6) : 코스피와 나스닥의 커플링은 없다. (0) | 2021.11.13 |
---|---|
주식의 정량적 분석 (5) : 원금을 회복하기 위한 존버의 시간은 얼마나? (0) | 2021.09.04 |
주식의 정량적 분석 (4) : 이 주식이 올랐을 때, 저 주식은 오를까? 내릴까?, 주식 종목의 상관 계수 (0) | 2021.08.24 |
주식의 정량적 분석 (2) : 오늘 오른 주식, 과연 내일 오를까? 떨어질까? (0) | 2021.08.08 |
주식의 정량적 분석 (1) : 주가 변화의 분포 - 정규 분포가 아닌 라플라스 분포! (1) | 2021.01.27 |